JSP 13

JSP EL과 JSTL 이란?

EL(Expression Language)과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사용하는 이유 JSP 페이지 내에서 자바코드와 HTML 코드가 섞여 있으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복잡해진다. 자바 구문을 라이브러리 형태로 만들어 놓고 필요할 때마다 태그로 꺼내 쓰는 기술인 EL과 JSTL을 사용하면 HTML과 태그로만 구성된 소스코드가 되어 가독성이 상승하게 된다. EL(Expression Language)란? EL은 값을 간결하고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Attribute 형식에서의 JAVA와 EL 비교 JAVA EL ${name} ${member.getName()} Attribute 형식의 값 찾는 순서 Attribute 형식의 값을 찾을 때 작은 범위에서 큰 범위로..

JSP/개념공부 2023.08.06

JSP 세션(Session)이란?

세션(Session)이란? 내장 객체로서 브라우저마다 한 개씩 존재하고, 고유한 SessionID 생성 후 정보를 추출한다. 세션(Session) 장단점 JSP에서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좋다. 기본적으로 서버의 스펙이 좋기때문에 저장 용량의 한계가 거의 없다.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서버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 쿠키보다 세션을 쓰는 것이 더 안정적이다. 다만, 세션에 저장할 공간이 부족할 경우 쿠키를 사용하자. 세션(Session) 값 저장하기 session.setAttribute(이름, 값); 내장 객체 session의 setAttribute 메소드를 통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세션(Session) 값 가져오기 session.getAttribute(이름) 내장 객체 session..

JSP/개념공부 2023.07.25

JSP 쿠키(Cookie) 생성, 수정, 삭제 방법

웹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하다 보면 종종 아이디 저장이라는 버튼을 볼 수 있다. 이때 아이디 저장이 활성화되면 해당 웹페이지를 열었을 때 이전에 로그인했던 아이디가 적혀있는 걸 볼 수 있다. 이는 JSP에서 쿠키(Cookie)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쿠키(Cookie)란?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로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헤더에 담아서 전송한다. 쿠키가 삭제되기 전까지 쿠키에 응답 데이터를 담아 전송하게 된다. 쿠키(Cookie) 장단점 클라이언트의 일정 폴더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정보가 사용자 컴퓨터(로컬)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에 위협받을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 사양에 따라 데이터 저장 용량에 한계가 있다. 일반 사용자가 브라우저 내의 기능인 "쿠키..

JSP/개념공부 2023.06.27

JSP Ajax GET 방식과 POST 방식

이전 포스팅에서 JSP Ajax 이론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GET 방식과 POST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Ajax GET 방식 ajax_get.jsp Ajax GET 방식의 요청 GET 방식으로 요청 보내기! request_ajax.jsp 실행결과 Ajax GET 방식 요청 후 페이지를 보면 뒤로 가기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은걸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페이지 이동 없이 서버에 요청한 응답을 받아 처리한 걸 알 수 있다. Ajax POST 방식 ajax_post.jsp Ajax POST 방식의 요청 POST 방식으로 요청 보내기! request_ajax.jsp 실행결과 Ajax POST 방식은 GET 방식과 다르게 전달할 데이터의 방식(타입)을 설정해줘야 한다. setRequestHeader 메서드를..

JSP/개념공부 2023.06.24

JSP Ajax(Asynchronus Javascript and XML)란?

Ajax (Asynchronus Javascript and XML)란? Ajax는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브라우저간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이때,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하는 게 키포인트다. ※ 주고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종류 JSON XML HTML 텍스트파일 Ajax의 장점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할 수 있다. 웹 페이지가 로드된 후에 서버로 데이터 요청을 보내거나 받을 수 있다. 다양한 UI(동적 페이지) 구현이 가능해진다. Ajax의 단점 페이지 이동이 없기 때문에 히스토리 관리가 안된다. 반복적인 데이터를 요청하면 느려지거나 작동하지 않게 된다. 페이지의 이동이 없으므로 보안 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JSP/개념공부 2023.06.08

JSP GET 방식과 POST 방식 차이

JSP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중 가장 대표적인 게 GET 방식과 POST 방식이다. 그럼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에 대해 배워보자. GET 방식 GET 방식은 주소에 데이터를 추가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다. 다음과 같이 쿼리 문자열(query string)에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로 인해 보안상 취약점과 데이터 전송 길이에 제한이 있다. 대신, POST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전송방식이다. GET 방식 사용 예제 join_get.jsp 개인 정보 form 태그에 method 속성 값을 get으로 설정해줬다. 만약, method 속성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디폴트는 GET 방식이다. join_get_ok.jsp 이름 생일 실행결과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쿼..

JSP/개념공부 2023.06.07

JSP 내장 객체

JSP 내장 객체란? 객체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객체이다. JSP 파일이 서블릿으로 변환될 때 웹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메모리에 할당하며 제공된다. JSP 내장 객체 종류 JSP 내장 객체는 고정된 이름으로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내장 객체 종류를 알아보자. 이름 용도 request 웹 브라우저의 요청 정보를 저장 response 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저장 out JSP 페이지 body에 출력할 내용 작성 시 사용 session 하나의 웹 브라우저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저장 pageContext JSP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 exception JSP 페이지에 예외가 발생한 경우 사용 JSP 내장 객체 request 사용 예제 join.jsp 개인 ..

JSP/개념공부 2023.06.06

JSP 자바빈즈(Java Beans)

우리는 JSP를 통해 HTML 문서에 Java 코드를 넣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HTML과 Java가 같이 쓰이게 되면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때문에 등장한게 자바빈즈(Java Beans)이다. 자바빈즈(Java Beans)란? 자바빈즈(Java Beans)는 JSP의 표준 태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자바 클래스이다. 이 클래스는 멤버변수, setter, getter 메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자바빈즈(Java Beans) 규칙 패키지화 기본 생성자 선언 필드 접근 제한자를 private로 설정 getter, setter 메소드 접근 제한자를 public으로 설정 스크립트(Script) 태그 vs 자바빈즈(Java Beans) 아래와 같이 Student 클래스가 있다고 해보자. Stud..

JSP/개념공부 2023.06.05

JSP DB 연동하기(오라클, DBeaver, JDBC)

이번시간에는 JSP에서 DB 연동을 해보겠습니다. 여기서는 오라클, DBeaver, JDBC를 사용하겠습니다. 오라클 다운로드 저는 오라클 11g 버전을 다운로드 했습니다. https://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xe-prior-release-downloads.html 개인 PC OS에 맞게 다운로드 해주세요. 저는 Windowsx64로 다운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풀어주고 DISK1 폴더에 setup.exe를 실행해주세요. Next를 누르다보면 관리자(SYS, SYSTEM)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라클 설치 완료 후 cmd 창을 연다. "sqlplus sys as sysdba"를 입력 후 오라클 설치 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 후 엔터를 누..

JSP/개념공부 2023.06.04

JSP 액션(Action) 태그 (forward, param, include)

액션(Action) 태그란? 서버나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명령하는 태그이다.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를 제어하거나 다른 페이지의 실행 결과 내용을 현재 페이지에 포함시킬 때 사용 액션 태그는 XML 형식의 를 사용한다. 액션(Action) 태그 종류 액션 태그 설명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과 같이 페이지 흐름을 제어한다.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에 정보를 전달한다. 외부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거나 페이지 모듈화한다. 액션(Action) 태그 사용법 actiontag_test.jsp forward 액션태그를 사용해서 param_page.jsp로 이동한다. 이때 param 액션태그를 사용해서 id(admin), name(관리자) 정보를 전달한다. 한글을 위해 request 인코딩을 UTF-8로 설정..

JSP/개념공부 2023.04.16